pISSN: 2465-7735

프랜차이징저널 (2025)
pp.1~16

DOI : 10.22985/kasof.2025.11.2.001

프랜차이즈 본부의 혁신활동이 가맹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의 매개효과와 정부지원의 조절효과

장영재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학과 박사 수료)

박주영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학과 교수)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본부의 혁신활동이 가맹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이 개별 변수 간 단편적 인과관계에 초점을 맞춘 데 반해, 본 연구는 제품혁신과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을 통합적으로 조망하고, 이들이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매 개로 하여 가맹점의 경제적·운영적·지속가능 성과로 확산되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정부지 원은 본부의 혁신활동이 경쟁우위로 전환되는 데 있어 조절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이론적으로 가정하였 다. 본 연구는 개념논문으로서 문헌연구를 통해 변수 간 관계를 개연성 있게 연결하고, 후속 실증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안한다. 실증 자료 없이도 혁신활동의 경로적 구조를 명확히 구성함 으로써, 프랜차이즈 산업에 특화된 혁신성과 프레임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본부의 혁신을 전략적 가치 창출 메커니즘으로 정의하고, 경쟁우위를 매개로 한 가맹점 성과 의 구조적 연계를 강조하며, 정책지원이 혁신성과의 확산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조건임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모형에 기반한 실증적 검증과 산업별 비교 분석이 요청된다.
  프랜차이즈 본부,혁신활동,지속 가능한 경쟁우위,가맹점 성과,제품혁신,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정부지원

The Impact of Franchisors’ Innovation Activities on Franchisee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Moderating Role of Government Support

Young-jae Jang

Ju-Young Park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nceptual framework that theoretically explains how innovation activities of franchise headquarters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franchisees.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has primarily focused on fragment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variables, this study takes an integrated approach by examining both product innovation and business process innovation. It proposes a structural model in which these innovations contribute to economic, operational, and sustainability performance at the franchisee level through the mediation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urthermore, it theoretically posits that government suppor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ransforming innovation activities into competitive advantage. As a conceptual paper, this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ally plausible model by linking variables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laying a foundation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Even without empirical data, the study aims to clarify the structural pathways of innovation activities and develop a framework tailored to the franchise industry.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defines innovation in franchise headquarters as a strategic mechanism for value creation, highlights the structural link betw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franchisee performance, and suggests that policy support serves as an institutional condition that facilitates the diffusion of innovation outcomes. Future research should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model and conduct comparative analyses across industries.
  Franchise headquarters,Innovation activities,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Franchisee performance,Product innovation,Business process innovation,Government support

Download PDF list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현대자동차경영관 519호 (안암동5가, 고려대학교)      [개인정보보호정책]
kasof2@gmail.com
COPYRIGHT © Korean Academic Society of Franchising, All Right reserved.